안녕하세요!
주식전당포 곽팀장입니다.
주식보다 위험성이 높지만, 높은 수익률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비트코인.
투자자라면 주식 뿐만이 아니라 비트코인에
대한 것도 알고 계셔야겠죠. 오늘은 새로운 투자의
대상이 된 비트코인에 대해 설명해보려 합니다.

가상화폐와 비트코인
먼저 가상화폐는 말 그대로 현실에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화폐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말 그대로
데이터 파일에 불과하지만, 그것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화폐로 사용되고 있죠.
비트코인은 이런 가상화폐의 일종인데,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만들어진 최초의 가상
암호 화폐라고 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모든 사용자가 거래기록을 공유합니다.
그리고 일정시간마다 거래기록을 맞추며,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는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거래기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순 없지만,
누구나 변경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죠.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수많은 기록을 하나로 묶어
모두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군가 쉽게 조작할 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비트코인은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는
은행이나 화폐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
개인간의 자유로운 거래를 위해 만들어졌는데요.

은행 거치지 않고 개인간의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해킹될 걱정도 없고,
거래시 수수료에 대한 부담도 적습니다.
그렇기에 이를 발행하는 정부도,
관리하는 은행도 존재하지 않죠.

채굴
비트코인은 채굴이라는 특이한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앞서 얘기한 것처럼,
블록체인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는데,
이 블록은 새로 생성하는데에 컴퓨터를 통한 연산이
필요하고, 연산을 풀어 새로운 블록을 만든
사용자에게 코인을 지급하는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비트코인을 지켜주는 사용자에게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한다고 볼 수도 있죠.
이런 방식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트코인은
사실상 해킹이 불가능한 보안성을 갖고 있습니다.

투자의 가치
현재 비트코인은 사실상 화폐보다 투자로서의 대상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비트코인이 투자의 가치를 갖게 된 것은
그 유지성과 보안성, 그리고 희소성에 있습니다.
인터넷이 사라지지않는 한 영원히 유지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킹도 사실상 불가능하죠.
컴퓨터의 연산을 통해 비트코인을 얻는 채굴도,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대마다
데이터 용량이 늘어나고
다음 블록을 만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많은 컴퓨터와 전력을 요구합니다.
그렇기에 갈수록 희소성이 올라가고 있죠.
이런 특징들 때문에 비트코인은 투자할 가치를
인정받아 투자의 대상이 되어있습니다.

금이나 보석도 가치가 없다면, 그저 예쁜 돌에
불과하지만, 사람들이 그 희소성을 보고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에, 전 세계 어딜 가더라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화폐로서도 쓸 수 있습니다.
대량으로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가치는 변하지 않고,
필요할 경우 돈으로도 바꿀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유지성과 보안성, 희소성 때문에 미래에
디지털 화폐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라 보여
투자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디지털 금이라고 불리기도 하죠.

주식처럼 투자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의 대상이 된
비트코인. 높은 수익률로 화제가 되고 있지만,
주식보다 훨씬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하기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춰 신중한 판단과 선택으로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식을 찾아가는 것이
투자자에게 필요한 덕목이겠죠.
주식전당포는 언제나 고객님들의
성공적인 투자를 응원합니다.
주식담보대출과 관련된 문의는
아래 번호로 부탁드립니다.
문의 010-8262-7158
주식 전당포 곽 팀장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곽팀장의 경제 이야기 | 신용대출 (2) | 2025.01.23 |
---|---|
곽팀장의 경제이야기 | 양자컴퓨터 관련주 (2) | 2025.01.17 |
곽팀장의 경제이야기 | 연말 주류소비량 급감에 따른 주식 시장 영향 (1) | 2025.01.15 |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알아두면 좋은 경제 상식 | 담보비율 (10) | 2025.01.06 |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알아두면 좋은 경제 상식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2) | 2025.01.06 |